상차림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0-28 21:33
본문
Download : 상차림.hwp
⑦주된 음식을 거의 들면 주식으로 국수, 만두, 떡국 등을 낸다.
① 모임의 목적, 손님의 부류, 연령, 성별 등을 고려하여 식단을 작성한다.
8.생신상.혼례상차림
1) 생신상
어른의 생신날에 자손이 축하드리고 봉양의 뜻으로 반상을 제대로 갖추어 대접한다.
② 계절과 예산에 맞게, 조리법을 고르게 택하여 식단을 작성한다.
아침상은 흰밥에 미역국을 차리고 오첩이나 칠첩의 찬품을 마련하여 반상차림을 한다. 후식은 주식을 들고 나서 상위에 남은 그릇을 치운 후 내거나, 다른 장소에 옮겨서 대접하도록 한다. 원래 교자상의 주식은 장국상과 마찬가지로 국수나 만두・떡국으로 하고 찬품은 장국상이나 주안상에 차리는 음식들과 같으며, 음식을 들고 나서 다과를 내도록 한다. 손님을 대접할…(투비컨티뉴드 )
7.교자상차림
상차림
Download : 상차림.hwp( 62 )
레포트/생활전문
순서
교자상은 보통 큰 사각반이나 또는 대원반에 여럿을 함께 대접하는 음식상차림으로 집안에 잔치나 경사가 있을 때 마련한다. 주된...
다.
③ 식단이 정해지면 담을 그릇과 수저, 휘건, 식탁보등을 미리 점검한다. 주된 음식들은 상의 중심에 놓고, 국물있는 음식은 한 사람분씩 작은 그룻에 각각 담는다.
⑥ 더운 음식은 그릇을 미리 덥혀 상에 낼때에 바로 담아 뜨겁게 먹을 수 있게 하고, 찬 음식은 그릇에 담아 냉장고에 차게 두었다가 바로 내어 대접할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. 밥을 주식으로 하는 교자상을 얼교자상이라고 하는데, 주된 찬품을 들고 나서 진지를 들 때는 다시 밥반찬이 되는 찬품과 탕을 준비하여야 되므로 매우 번거롭다.
⑤음식을 한꺼번에 상에 차리지 말고 처음에는 술과 식욕을 돋울수 있는 전채 음식을 낸다음 순차적으로 2,3가지씩 내도록 한다.
④ 상에는 초장, 초고추장 등의 조미품과 김치, 국물이 있는 국, 죽, 국수 등은 한 사람분씩 따로 담는다. 그리고 공동의 음식을 덜어먹을 개인용 앞접시를 상에 미리 놓는다.





7.교자상차림 교자상은 보통 큰 사각반이나 또는 대원반에 여럿을 함께 대접하는 음식상차림으로 집안에 잔치나 경사가 있을 때 마련한다. 교자상은 한 사람씩 외상을 차리던 형식을 여러 사람 몫을 한데모아 간소화시켜서 차린 상차림이다. 주된... , 상차림생활전문레포트 ,
,생활전문,레포트
설명
7.교자상차림
교자상은 보통 큰 사각반이나 또는 대원반에 여럿을 함께 대접하는 음식상차림으로 집안에 잔치나 경사가 있을 때 마련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