철근 콘크리트 역학 實驗 - 골재 체가름 시험 (KS F 2502)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24 10:24
본문
Download : 철근 콘크리트 역학 실험 - 골재 체.hwp
팀원들과 토의로 볼 때 발생 이유로는 먼저 시료채취과정에서의 problem(문제점)을 생각 할 수 있따 시료 채취 시 experiment(실험)실의 골재 저장고의 시료를 가져다 썼다. 또한 같은 재료로 experiment(실험)을 하다 보니 experiment(실험) 과정 중에서 시료가 체에 끼이거나 저울로 옮기는 과정에서 먼지나 잔 모래가 날리는 시료가 누락된 점도 오차의 Cause 으로 생각해 볼 수 있따 그래도 experiment(실험) 과정에서 커다란 사고 없이 experiment(실험)을 무사히 끝마쳤으며 보고서에서 볼 수 있었듯이 골재의 여러 성질과 그것이 현실에서 어느 곳에 적용될 수 있는지 여러모로 생각하고 공부 할 수 있어 experiment(실험)이 잘 수행되었다고 생각한다.
(4) 시료 분취기
철근 콘크리트 역학 실험,골재 체가름 시험,KS F 2502,철근 콘크리트
(2) 건조기
② 잔골재 시료무게 측정용 저울: 기본 단위 0.1g
(1) 저울: 시료 무게의 0.1%이상의 정밀도 가진 것
철근 콘크리트 역학 實驗 - 골재 체가름 시험 (KS F 2502)
③ 굵은골재 시료채취용 저울: 기본단위 500g
(5) 삽
설명
① experiment(실험)결과 4.75mm치수를 가지는 표준체에서 굵은골재의 누적 누계량 백분율이 99%이고 잔골재의 통과량(100-누계량(%))이 99%인 것을 볼 수 있따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에 따라(theory 및 참고사항 (4)참고) experiment(실험)에서 채취하여 사용된 골재가 각각 굵은 골재와 잔골재가 맞음을 확인할 수 있따
Download : 철근 콘크리트 역학 실험 - 골재 체.hwp( 24 )
순서
다. 그러나 한번 experiment(실험)을 해서 분리된 시료를 잘 섞지도 않고 바로 experiment(실험)에 사용하였다.
① 잔골재 시료채취용 저울: 기본 단위 0.5g
(3) 체진동기
레포트 > 공학,기술계열





(1) 저울: 시료 무게의 0.1%이상의 정밀도 가진 것 ① 잔골재 시료채취용 저울: 기본 단위 0.5g ② 잔골재 시료무게 측정용 저울: 기본 단위 0.1g ③ 굵은골재 시료채취용 저울: 기본단위 500g ④ 굵은골재 시료무게 측정용 저울: 기본단위 0.5g (2) 건조기 (3) 체진동기 (4) 시료 분취기 (5) 삽
④ 굵은골재 시료무게 측정용 저울: 기본단위 0.5g
② 굵은골재 최대치수는 KS F2523골재에 관한 용어의 定義(정의)편에 의하면, 중량 통과 백분율이 90%에 해당하는 체눈의 크기로 표시되는 최소 호칭치수이다. 그런데 이 저장고에서 조립도 분포는 가장자리, 정상, 중간 등 전체가 고르게 분포되어있지 않아 있따 그러나 시료 채취 시 시료 채취 방법(4분법과 시료분취기에 의한 방법)을 사용하지 않고 주로 맨 위의 시료들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. 따라서 사용된 시료는 표3에서 볼 수 있듯이 일반적인 경우, 즉 Slab, 기둥, 기둥, 보에 기초까지 여러 곳에 사용될 수 있따 골재가 25mm보다 작아지면 조립율과 체가름 곡선의 입도 분포에서 오차가 발생했다. 따라서 주로 큰 입자의 골재들을 채취하여 사용하게 되었다. 즉 각각의 experiment(실험)값 간의 오차가 발생했다. 또 다른 이유는 experiment(실험) 과정에서 시료의 재사용 방법의 문제를 생각할 수 있따 총 2번의 같은 experiment(실험)을 할 때, 사실은 매번 새롭게 고르게 분포된 시료를 채취해서 experiment(실험)을 해야 한다. 따라서 1차 experiment(실험)과 달리 2차 experiment(실험)은 더 잘 분리가 되어 측정(測定) 한 결과 값이 확연히 달라졌다. 위 experiment(실험)에서 25mm체가 90%가 넘는 체중에 가장 작은 체이므로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25mm이다.